상견례 때 지켜야 할 기본 예절 상견례 때 지켜야 할 기본 예절 결혼을 위한 마지막 관문인 상견례. 양가 어른들이 처음으로 서로 만나 결혼을 공식화하는 자리죠. 양가 어른을 모두 배려해서 약속을 잡고, 어느 한쪽도 어려워하지 않도록 상대방 부모를 챙겨야 좋은 만남이 될 수 있답니다. 10분 전에 미리 도착하세요 .. 예절정보·관혼상제 2014.04.24
맞선 잘 보는 법/맞선복 맞선 잘 보는 법/맞선복 1 . 첫만남을 어디서 갖어야 하는가. 처음 만나는 장소의 분위기에 대한 호감은 첫인상과 정비례한다. 무드가있는 커피숍이나 아름다운 공원에서 그녀와 처음 만남을 가졌다면 그 후에 서로 잘 이어졌건 그렇게 되지 못했건 간에, 그녀는 그 장소를 추억속에 간직.. 예절정보·관혼상제 2014.03.21
맞선 및 소개팅/맞선 대화법 맞선 및 소개팅 성공 노하우 # 맞선 성공 노하우 - 대화법 상대의 눈을 보며 말하는 것이 중요하며, 칭찬을 자주 한다. 또한 '잘 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자연스럽게 상대의 외모나 인상 등을 칭찬해주시는 것이 맞선 및 소개팅 성공 노하우입니다. 그리고 상대의 '이름'을 불러주는 것.. 예절정보·관혼상제 2014.03.21
상견례예절/상견례대화/상견례옷차림/상견례인사법 #1 상견례예절/상견례대화/상견례옷차림/상견례인사법 안녕하세요. 결혼식을 하기전에 부모님들과 함께 만나는 자리 바로 상견례를 하는 자리가있죠. 신랑 신부가 결혼식을 하기에 서로 필요한 부분을 대화하는 자리이기에 정말 중요하다고 할수 있는데요. 이번시간에는 상견례 예절 방법에 대해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상견례 예절 첫번째로는 가장 중요한 장소선택을 해야하는데요. 장소는 양가집안의 집에서 중간위치쯤이 좋다고 생각하겠지만 한쪽 집안의 연배가 높으신 분이 계실때에는 연배가 높으신 쪽으로 조금 더 가까운쪽으로 약속을 정하는것이 상견례 예절 이라고 합니다. 음식을 시킬때 메뉴는 부모님들에게 일단 물어주고 서로 어느정도 좋아하는 음식으로 선택하는게 좋고 식당은 예약은 필수로 해주시고 아늑하고 조용한 공간이 좋다고 합니다.. 예절정보·관혼상제 2014.03.19
상견례 때 대화 예절 상견례 때 대화 예절 ▶상견례에서는 집안의 어른들이 먼저 결혼 당사자인 자녀의 이야기로 시작하는 것이 좋다. 성장 과정이나 집안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어색하지 않게 분위기를 이끌어 나갈 수 있다. ▶서로의 며느릿감이나 사윗감에 대한 칭찬을 아끼지 않는 것이 서로에게 좋은 인.. 예절정보·관혼상제 2013.07.25
상견례예절/상견례대화예절 상견례예절 1. 10분전에 사진촬영미리 도착하기 교통 사정을 사진감안해서 출발하여 약속 시간보다 10~15분 전에 도착하는 것이 예의다. 너무 빨리 와서 기다리는 사랑고백것은 상대편에게 부담이 될 수 있고, 약속한 상견례시간보다 늦게 도착하는 것은 결례이다. 2. 양가 상견례자리 잡기.. 예절정보·관혼상제 2013.07.25
상견례대화 예절 상견례 대화 예절 상견례 대화 예절로서 정식으로 양가의 어른들이 만나 자식들의 결혼을 얘기하는 자리, 상견례 이 자리를 통하여, 양가의 분위기. 가정교육. 가풍 등을 알 수 있어서, 결혼이 일사천리로 진행되는가 하면 잘될 것 같던 결혼도 깨질 수 있어요.ㅠㅠ 당사자들과 양가의 어.. 예절정보·관혼상제 2013.04.03
함받는순서 받는순서 1. 신부 집에 들어가기 전, 박을 깨고 들어간다.(잘 깨질수록 대박이 난데요 2. 병풍을 활짝 펴고 돗자리를 깐 후, 상위에 한지로 덮어준다. 3. 신부는 예쁜 한복을 입고 준비를 한다. 4. 함을 받을 때는 신부는 그 자리에 있으며 안되고, 신부 부모님께서 나와서 맞아야 합니다. 5. .. 예절정보·관혼상제 2012.11.16
상견례호칭 상견례호칭 우선 예비 신랑신부는 양가 부모님을 장모님, 장인어른, 어머님, 아버님으로 호칭하면 되고 양가 부모님들은 아직 결혼 전이므로 서로 예비사돈어른, 예비사부인으로 호칭하면 된다. 신랑쪽 부모님은 예비며느리를 00양 으로 하면 되고 신부쪽 부모님은 예비 사위를 00군 또는.. 예절정보·관혼상제 2012.08.04
상견례 인사나누기 상견례 인사나누기 양가 어른 첫인사 나누기 (상견례 할때) 상견례는 예비 신랑,신부가 자리를 만들어 양가 어른을 초대하는 형식으로 진행하면 된다. 그러므로 각자 자신의 가족을 상대바의 어른들게 소개하는 것으로 양가 인사를 대신하고 예비 신랑 신부가 분위기를 만든다. 만나는 .. 예절정보·관혼상제 2012.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