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등산정보·산행정보 183

백두대간(白頭大幹)과 9정맥

백두대간(白頭大幹)과 정맥 🌄백두대간과 정맥은 우리나라의 산줄기 체계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백두대간은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지리산까지 이어지는 중심 산줄기이고, 정맥은 백두대간에서 갈라져 나온 13개의 산줄기입니다. 한반도의 뼈대를 이루는 산줄기로, 황해와 동해를 거쳐 낙동강 수계의 분수령이 된다. 이 산줄기는백두산에서 시작하여 동쪽 해안산을 따라 남쪽 지리산까지 이어진다. 총길이가 1,625km이고 지리산에서 향로봉까지의 남한 구간만 해도 690km에 이른다. 각 지방을 구분 짓는 경계선은 삼국 시대에는 국경으로 조선 시대에는 행정 경계로 쓰 였고, 각지의 언어와 풍습 등이 나 누는 기준도 되었다. 한국의 풍속, 언어 등을 이해하는 바탕이 된다. 1. 白頭大幹의 理解 ① 백두대간은 우리의 영산인 백두..

입산통제구역 지정 및 등산로 통제현황/2023~2024년,춘천시,산림청(펌)

전체 축제1 가족체험관광1 레저/걷기1 캠핑/글램핑1 레포츠시설1 레포츠대회1 등산/트래킹1 춘천시티투어2 도심도보여행1 농촌체험마을 소개1 유아숲체험원2 삼악산군 코스 대룡산군 코스 오봉산군 코스 가리산군 코스 검봉산군 코스 춘천순환등반로 입산통제안내 입산통제구역 지정 및 등산로 통제현황 입산통제기간 봄철 : 2월 1일 ~ 5월 15일 / 가을철 : 11월 1일 ~ 12월 15일 입산문의전화 : 033 - 250 -3423 / 4705 / 3145 산불조심기간중 입산 가능한 등산로 웹서비스 왼쪽 버튼을 클릭하시면 "산불조심기간중 입산 가능한 등산로 웹서비스"에 대해 자세히 보실 수 있습니다. 구역명시군시군읍면리명필지수면적 합계 1,825 190,709,379 수청령일원 춘천 신북 용산 54 2,488,..

산행사고시 구급법및응급처치

산에서 사고를 당하면 쉽게 고칠 수 없다. 🌳때문에 병원에 도착하는 순간까지도 응급처치를 해주어야 하며 더 이상 부상이 확산되지 않도록 보호해야 한다. 🌴우선 응급환자가 발생했을 시에는 첫째 환자의 상태를 조사해야 한다. 호흡확인과 맥박 정도, 환자의 의식, 손발의 움직임 여부, 얼굴색과 체온, 피부색, 상처부위 등을 살펴보되 절대 생사판정은 하지 않는다. 둘째는 환자를 편안하게하고 보온을 해주어야 한다. 세번째론 환자가 의식이 있고 마실 것을 줄 필요가 있을 때는 주의해가며 음료를 조금씩 준다. 구조대 등에 연락을 취한다. 1. 골절 산에서 자주 당하는 골절은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으나 골절로 인한 이차적인 손상, 즉 2차감염이 문제며 잘못 처치하면 쇼크 등으로 사망할 수 있다. 또, 골절환자를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