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 지내는 법
http://www.youtube.com/v/Vtd1Rhb4_F0?version=3&feature=player_embedded
1.분향재배
제주가 제상앞에 정중하게 무릎을 꿇고 공손하게 두손으로 향불에 분향을
한 뒤 절을 두 번 한다.
2.강신재배
강신이란 신위(神位)께서 강림하시어 음식을 드시기를 청한다는 뜻이다.
제주이하 모든 사람이 손을 모아 서 있고, 제주가 신위 앞에 나아가 꿇어
앉아 분향하고 집사자가 술을 술잔에 차지 않도록 조금 따라 제주에게
주면 제주는 받아서 모사 그릇에 3번으로 나누어 붓고 빈 잔을 집사자에게
돌려 보내고 일어나서 2번 절한다.(향을 피우는 것은 위에 계신 신을 모시고자 함이요,술을 모사에 따르는 것은 아래에 계신 신을 모시고자 함이다.)
3 참 신
참신이란 강신을 마친후 제주 이하 모든 참신자가 함께 두 번 절을 하는 것임.
4.계반삽시
계반삽시란 메(밥) 그릇의 뚜껑을 열고 수저를 꽂는 것을 말하는데 수저는
동쪽을 향하게 꽂는다.(수저 바닥이 동쪽을 향하게 하여 꽂는다.)
5.초 헌(차례는 초헌이면서 단헌 즉 한번 잔을 올린다)
초헌이란 제주가 신위 앞에 나아가 꿇어 앉아 분향한 후 집사자가 잔을
제주에게주면 제주는 잔을 받아 집사자가 따르는 술을 강신 할 때와 같이
오른손 으로 잔을 들어 모사에 조금씩 3번 기울여 부은 다음 양손으로
받들어 집사자에게 주면 집사자는 그것을 받아 제상에 올린다.
6.철시복반
철시복반이란 숭늉 그릇에 있는 수저를 거두고 메 그릇을 덮는 것을 말한다.
7.사 신
참사자 일동이 2번 절하고 지방을 태운다.
8.철 상
철상이란 상을 걷는 것을 말하는데, 모든 제수(祭需)는 뒤에서 물린다.
9.음 복
음복이란 조상께서 주신 복된 음식이란 뜻으로 제사가 끝나면 참사자와
가족들이 모여서 시식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