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과 축문 쓰는 방법 지방과 축문/지방쓰는번/축문쓰는법 1. 지방 쓰는 법 지방을 쓸 때에는 반드시 몸을 청결하게 하고 정성을 들여 쓰되 제사가 드는 날 저녁 흰백지위에 붓으로 쓴다. (1) 신위는 고인의 사진으로 할 수 있다. 사진이 없을 경우 지방으로 대신한다. (2) 지방의 규격은 폭이 6센치 정도, 길이가 22.. 예절정보·관혼상제 2013.09.19
축문쓰는 법#2 [축문쓰는 법] 1. 축문은 길이 36cm정도 폭 24cm 정도의 백지위에 정자로 쓴다. 2. 축문의 문구는 유(維)자, 현(顯)자, 향(響)자는 한글자 위로 올려 쓴다. 3. 干支(간지) : 제사든 당년의 太歲(태세) 즉 丙子(병자)년이면 丙子(병자)라 쓴다. 4. 某月(모월) : 제사든 달이 음력 八月(팔월)이면 八月(.. 예절정보·관혼상제 2013.09.19
축문쓰는법 축문쓰는축문쓰는법법 │건국건설정보 컨설턴트 박기태(정쾌) 제사상,설날,추석차례상 제수용품준비 제사상,설날,추석차례상 차리는법 차례,기제(제사)절차순서와 차이점 전통식 지방(紙榜)쓰는법 축문쓰는법 축문쓰는 법 축문이란 제사를 받드는 자손이 제사를 받는 조상에게 제사의 .. 예절정보·관혼상제 2013.09.19
지방쓰는법/부모지방쓰는법 지방쓰는법/부모지방쓰는법 제사상 차림 - 제사상차리기 순서 1열 -시접, 잔반, 밥(메)과 국(갱)을 신위 수대로 올립니다. 명절 차례에는 떡국을 올립니다. 2열 -어동육서 :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 두동미서 :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 3열 - 생선탕, 두부탕, 고기탕등의 탕류를 놓.. 예절정보·관혼상제 2013.09.19
각종축문쓰는법/관혼상제/생활상식 예절에 대한 소개하려고 합니다. 근세에 와서는 유교사상으로 조상에 대한 존경과 애모의 표시로 변하게 되어 가장마다 제사를 드리게 되었다. 그러나 봉사대상은 시대에 따라 변천되어 왔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공민왕 이년에 포은 정몽주 선생이 제정한 제례규정에는 대부 이상의 .. 예절정보·관혼상제 2013.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