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한글용어
가이드 | 보수를 받는 직업적인 등산안내자. | |
개인장비 | 개인이 산행시 휴대해야 하는 장비로서 배낭, 등산화, 자켓, 비옷, 장갑 등이 있고,겨울에는 아이젠, 스패츠, 고글 등..... 여러가지 장비들이 있다. . | |
고도계 | 산 높이(고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기, 요즘은 시계와 고도계, 온도계 등 다양한 기능이 있는 시계을 많이 사용한다. | |
개념도 | 산에 대한 대략적인 지형을 그려 놓은 지도. 보통 산행시에는 개념도만 가지고 산행할 수도 있지만 백두대간 종주나 오지에 있는 높은 산을 산행할 때는 1:5만 지도나 1:2만5천 지형도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 |
고어텍스 | 미국 뒤풍의 R.W.고어가 발명한 e-PTEE라는 물질의 상품명이다. 뛰어난 방수 효과와 미세한 구멍을 통한 뛰어난 통기성으로 등산복, 등산화, 자켓, 텐트, 우비 등 여러 곳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 |
고글 | 폭설, 바람, 자외선 등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안경. 눈이 많이 쌓인 산에서 직사광선이 설면에 내리쬐면 자외선의 반사작용으로 눈을 자극하여 설맹에 걸리기 쉬우므로 눈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한다. | |
고산병 | 고소(해발 3,000m 이상)에 적응 하지 못해 생기는 증세로, 높은 산에 올라가면 기압이 내려가는 동시에 공기 속의 산소가 부족하여 두통, 식욕부진, 구토, 현기증 등 몸에 이상이 오는 증상을 말한다. | |
기점 | 등산로가 시작되는 지점 | |
나이프 릿지 | 칼날처럼 날카로운 암릉, 깍아지른 산 능선. | |
나침판 | 산에서 방위각을 측정하는 기기. 산행시 지도와 나침판은 꼭 챙겨야한다. | |
낙석 | 산에서 암석이 떨어져 내리는 것. | |
너덜 | 산비탈에서 돌이 많이 흩어져 내려 쌓인 곳을 너덜지대라 한다. | |
능선 | 골짜기와 골짜기를 사이에 있는 산등성이로 분수계를 이루는 곳. 산줄기 · 산등성이라고도 한다. 산봉우리와 산봉우리가 이어져서 산지의 등줄을 이루며 주분수계를 이룬다. 이는 장년기 산지에서 볼 수 있으나, 만장년기의 산지에서 특히 뚜렷하게 나타난다. 즉 산등성이는 날카로울 정도로 뾰족하고, 산줄기 양쪽에는 가파른 골짜기의 사면을 이루고 있다. 만장년기에 의해서 산지에서는 뾰족했던 봉우리가 침식에 의해서 둥그스름한 모양을 이루게 되고 물결 같은 곡선을 그리며 이어져 나간다. 능선의 높은 부분은 봉우리, 낮은 부분은 안부라고 한다. 능선은 골짜기 길보다 위험성이 적어서 등산로로 널리 이용되며, 안부는 교통로로 이용된다. | |
다 | 동상 | 한랭의 의하여 신체의 일부분 얼굴이나 손가락, 발가락 등의 부분에 혈관의 기능이 침해되어 세포 조직이 어는 것을 말하며, 증상은 세 단계로 구분된다. 제1도나 제2도는 빨리 치료하면 났지만, 제3도 동상은 절단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
등산화 | 산행은 주로 걷는 일이므로 좋은 등산화를 선택해서 발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등산화는 용도별로 보면 워킹용과 동계와 고산용, 암벽용으로 구분된다.
| |
된비알 | 산에서 아주 험한 급경사 비탈을 말한다. | |
등반 | 암벽이나 빙벽을 올라갈 때 발로만 걷는 것이 아니고 손과 로프 그 외 모든 도구을 이용하여 오르는 행위를 등반이라 하며 암벽등반, 빙벽등반이라고 말한다. 이와 상관없이 발로 걷는 등산이라도 고소(3,000m 이상)등산이나 겨울에 눈이 많이 쌓인 높은 산을 오를 때도 등반이라는 말을 많이 쓴다. | |
러셀 | 눈이 많이 쌓여 있는 산에서 눈을 밟아 길을 내면서 전진하는 것. | |
레이션 | 비상 휴대식량. 주로 깡통으로 된 통조림. | |
로프 | 등산용 밧줄을 말하며 전문 암벽등반용은 보통 10mm이상의 굵기에 길이도 50m 정도 되는 것을 사용하며, 일반 산행시 보조자일은 20m 정도 되는 것을 휴대한다. | |
루트 | 등산로, 일정한 통로를 개척해 놓은 곳을 말함. | |
리더 | 등산시 팀의 책임을 맡은 사람. 흔히 대장이라 부른다. 단체 산악회를 따라가면 팀을 리더하는 등반대장이 있다. | |
릿지 | 산 능선, 암릉을 말함. | |
릉 | 능선을 말함. 암릉은 바위능선을 말함 | |
마 | 막영 | 산이나 야외에서 텐트를 치고 생활하는 것. |
막영구 | 산에서 야영할 때 필요한 장비 일체를 말한다. 텐트, 매트리스, 버너 등 | |
매트리스 | 막영시 바닥에 까는 단열재. 동계용은 키보다 조금 긴 것을 구입하고, 배낭에 매고 가야 하기에 가벼운 것을 선택한다. | |
목출모 | 머리와 얼굴을 완전히 덮어 씌우고 눈만 나오게 만든 방한용 모자. 겨울에 빰이 시릴정도로 강한 바람이 불거나 눈보라가 칠 때는 목출모를 쓰며 방한효과가 대단하다. | |
버너 | 등산용 스토브. 동계용은 가스나 가스버너는 화력이 매우 낮아지므로 휘발유용 이나 석유용 버너 한대는 반드시 챙긴다. | |
바위산(암산) | 바위로 이루어진 산을 말하며 바위산은 가지각색의 모양과 기암괴석 같은 바위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표적인 바위산은 월출산, 설악산, 월악산, 북한산, 청량산 등이 암산이다. | |
분기점 | 길이 두 갈래 이상으로 나누어 지는 지점을 분기점이라 한다. | |
배낭 | 산행에 필요한 모든 것을 담아 가는 장비로서 튼튼하고 기능성이 있는 것을 마련해야 한다. 아무리 무거운 짐을 넣어도 몸에 달라 붙여야 하고 멜빵에도 이상이 없는 것이라야 한다. 당일 산행용으로는 28~35리터 정도 되는 것이 좋고 여벌옷이나 보온의류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이 있어야 한다. | |
백두대간 | 백두산에서 시작되어 남쪽으로 뻗어 내려오면서 지리산 천왕봉까지 이어진 거대한 산줄기이며, 우리나라 땅을 동과 서로 크게 갈라 놓은 산줄기의 이름이다. 이 산줄기의 길이만도 약1,600km에 이르고, 남한에서 종주할 수 있는 구간은 지리산 천왕봉에서 향로봉까지 도상거리로 약690km에 이른다. | |
비박 | 등산시 생각지도 않은 불의의 사고나 악천후 때 지형지물을 이용하여 임시노숙하는 것을 말함. 운영자는 백두대간 구간종주시 남원과 함양 경계상에 솟아 있는 봉화산 정상 산불감시초소에서 판쵸우의와 자켓만 입고 1박을 하였는데 이것을 비박이라 한다. 그래서 높은 산을 산행할 때는 여벌의 옷과 비상식량, 방한구 등은 향상 준비를 해가지고 산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분수계 | 내린 비가 각각 반대쪽으로 흐르는 경계선. 분수령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유역을 나누는 경계가 되며, 산맥의 봉우리를 이은 선에 상당한다. 대규모의 분수계는 빗물의 경계일 뿐만 아니라, 기후구의 경계를 이룬다. | |
설동 | 눈 속에 굴을 파서 그 안에서 노숙을 하거나, 악천후의 기상을 피하기 위해 눈굴을 만든 곳을 말함. | |
설맹 | 눈이 많이 쌓인 산에서 직사광선이 설면에 내리쬐면 자외선의 반사작용으로 눈을 자극하여 일어나는 안염. 예방을 위하여 보호안경(고글, 선글라스)을 쓴다. | |
설피 | 눈이 많이 쌓인 지역에서 등산화가 눈 속에 빠지지 않고 통과하기 위해 등산화 밑에 고정시켜 놓은 도구. 주로 대나무 등을 이용하여 많이 만들어 사용한다. | |
스패츠 | 눈밭에서 없어서는 안될 필수장비로 눈이 등산화속으로 들어 오는 것을 방지하며 방수투습성 원단으로 만든 것이 기능적이고 무릎밑까지 오는 긴 것을 구입하는 것이 좋다. | |
사면 | 산의 경사가 진 것을 말함. | |
신설 | 새로 내린 눈. | |
설화 | 눈이 내려 나뭇가지에 꽃처럼 붙어 있는 눈발을 말함. | |
상고대 | 나무서리. 서리보다 다량으로, 나뭇가지 등 지표면에서 떨어진 다소 높은 곳에 생긴다. 고산지방과 한지에 많이 나타나는 현상으로 침상 ·판상 ·수지상 등의 결정형으로 되었으며 안개가 있을 때는 안개입자도 함께 부착되기도 한다. 바람이 약한 맑은 밤에서 이른 새벽에 나무나 지상물체의 바람을 받는 쪽에 생기기 쉽다. 나무에 흰 꽃이 핀 것처럼 아름다운 경치를 나타내는 것. | |
삼각점 | 삼각측량을 할 때 기준점을 말하며, 우리가 산봉우리에 올라갔을 때 사각기둥의 화강암으로 만든 표석이 땅에 박혀 있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이것이 삼각점이며 삼각점이 있는 봉우리는 멀리서도 쉽게 관측이 되며, 산에서 자기 위치를 알고 싶을 때는 삼각점이 있는 봉우리 두 개를 선택하여 나침판으로 각도를 재어 자기 위치를 알 수가 있다. | |
소 | 계곡의 깊은 웅덩이에 물이 고여 있는 곳. | |
소로 | 좁은 등산로 길. | |
슬리핑 백 | 침낭. 야외에서 잠자는 휴대용 침구. | |
상봉 | 그 산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 (상봉, 중봉, 하봉, 끝봉) | |
아이젠 | 눈길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장비로 등산화에 부착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쇠로 만든 발톱모양의 용구. 보통 4발짜리 부터 8발짜리까지 있으며 어떤 것이든 한벌은 준비 해가지고 겨울산행에 나서는 것이 좋다. 산행전 착용법을 미리 숙지 해 두고 당김끈은 고무로 된 것이 좋고 끈으로 된 것은 아무리 잘 묶어도 얼마가지 않아 풀리는 현상이 일어난다. | |
암릉 | 바위로 이루어진 능선을 말함 | |
육산(흙산) | 흙으로 이루어진 산을 말함. | |
암산(바위산) | 바위로 이루어진 산을 말함 | |
안부 | 봉우리와 봉우리 사이의 낮은 부분을 안부라 한다. | |
원점회귀산행 | 산행기점에서 올라가는 코스와 내려오는 코스를 달리하여 산행기점으로 되돌아 오는 산행을 말함. 주로 승용차를 가지고 갈 때 원점회귀산행을 많이 한다. | |
자 | 지형도 | 지표면의 형태 ·수계 ·토지의 이용 ·취락 및 도로 ·철도 그 밖의 각종 공작물 등의 배치상황을 자세하고도 정확하게 나타낸 지도. 1/2,500이나 1/5,000 등 대축척의 지형도에서는 거의 모든 대상물이 실형으로 표시된다. 1/25,000이나 1/50,000의 중축척 지형도에서는 대상물의 취사선택 ·종합표시 ·전위 등이 어느 정도 행해지나, 더욱 상세한 상황을 나타낼 수도 있다. 지형도라고 일컬어지기 위해서는 적어도 중축척 이상, 즉 수만 분의 1 이상의 축척이라야 한다. |
자일 | 등산용 로프를 말함 | |
지능선 | 주능선에서 뻗어 나간 산줄기. | |
저체온증 | 온도변화가 심하고 자기가 입고 있는 옷의 내외부의 온도차와 습도차가 적을수록 많아 발생하며, 한여름에도 발생할 만큼 흔히 발생하며 치명적이다. 체온저하는 곧바로 격렬한 떨림 현상을 동반하게 되며, 극심한 허기와 졸림이 오게 되는데 바로 졸림을 느끼는 순간이 가장 위험하며, 이 때 잠들면 사망으로 이어진다. | |
적멸보궁 | 석가모니 부처의 진신사리를 모신 전각을 말함. | |
침낭 | 휴대용 침구. | |
카 | 클라이머 | 등산가, 등반가. |
클라이밍 | 등산, 등반. | |
클리프 | 절벽. | |
타 | 트래버스 | 산능선으로 가지 않고 산허리로 횡단하는 것. |
1. 영문용어
(자료제공-한국의 산천)
가이드(Guide) : 산에서 안내인을 통털어 말한다. 등반대장과 같은 의미로도 해석할수 있다.
고글(Goggle) : 보안용안경으로 적설기, 한여름에 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한다.
고어텍스(Gore-tex) : 미국의 Gore박사가 발명한 원단으로 원단의 구조가 무수히 많은 엷은 다공질 필
름을 나이론 소재에 라미네이트 한 것으로 수증기등의 수증기는 빠져나가고 물은 침투하지 않
는 방수투습원단이다.
기어랙 (gear rack) : 암벽등반시 암벽 장비를 휴대할 수 있는 슬링으로 만든 어깨걸이.
그레이드(Grade) 루트의 난이도 등급.
너트(Nut)바위의 갈라진 곳에 끼워 넣어 지지력을 얻는 쐐기 모양으로 만든 금속확보물을 말하는 일반
적인 용어.
너트 키(Nut Key)잘 빠지지 않는 너트를 빼는 데 사용하는 금속 막대기.
나이프블레이드(knifeblade)날이 얇은 피톤.
나이프 에지(knife edge)바위가 날카롭게 모서리진 것.
다이나믹 빌레이(Dynamic belay):로프가 확보 장치를 통해 지나가게 하여 추락 에너지를 흡수케 하는
확보 방법.
다이렉트 빌레이(Direct belay):시간절약을 위해 중간에 확보물을 설치하지 않는 직접확보 방법.
닥터링(Doctering) : 자연적인 홀드가 없는 경우 바위의 면을 인공으로 홀드를 만드는 것을 말한다.
데포(Depot) : 등산 루트에 장비와 식량을 미리 옮겨 놓거나 보관하는 행위
디에드로(Diedre) : 책을 세워서 펼친 상태모양의 바위형태로 두 면이 만나는 가운데는 크랙이 있을
수 있다.
러쎌(Russel) : 러쎌이란 제설차를 고안한 미국인의 이름으로서 깊은 적설을 헤치고 다지며 전진하는것
을 말한다.
레이백(Lay back)두 손으로 바위나 크랙의 모서리를 잡고 발은 밀어주고 올라가는 자세.몸을 뒤로 제치
고 홀드가 없는 벽을 걸어 오르는 등반 방법.
로프(Rope) : 등반이나 하강시 필수적인 줄로서 독일어로는 자일(Seil)이라고 한다.
루트(route) : 등반을 하는 길.등반시에 올라가는 루트는 등반을 시작하여 끝나는 지점까지이다.
루트 파인딩 (route finding) : 자신이 가야 할 방향을 정하는 것 암벽빙벽등반에서 먼저 눈으로 홀드와
얼음 상태를 파악하여 기술 사용을 하기 위한 사전 행위.
리더(Leader) : 등산 파티의 지휘자, 대장을 말하며 파티에서 권한과 책임을 가장 많이 맡고 있는 사람.
리딩(leading) : 선등자가 되어 등반하는 것.
레이어웨이 무브(Layaway move)레이백 동작 중 한 손과 발로 몸을 뒤로 제끼고 반대쪽 손으로 다음
홀드를 잡는 동작.
레지(Ledge)암면에 있는 평평한 곳. 폭이 수센티미터 되는 것에서부터 수미터 되는 것까지 있다.
링반데룽(Ringwanderung) 동일한 장소에서 방향을 잃고 원을 그리며 제자리를 맴도는것을 말하며
기상조건이 나쁠때나 가스가 끼어있을때 이 현상이 잘 일어난다. 조난의 위험이 있으므로
지형도를 잘 살피고 운행에 임해야 한다.
릿지(Ridge) : 산릉, 암릉을 말하며 요즘에는 산릉의 급준한 바위릉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쓰인다
매트(mat) 막영시에 바닥에 까는 보온재를 말한다.
맵미터(map meter) 지도상에 표시되어있는 거리를 일종의 곡선계로 축척에 의해 수치가 표시된다.
메머리즘(Mummerism) 영국의 등산가 메머리에 의해 제창된 사상으로 등정이 목적이 아닌 등정에 이
르는 과정의 곤란을 극복하는것을 목적으로 하는 등산 사상이며 알파인 스타일이나 무산
소 등정의 형태로 발전하였다.
무빙 투게더(Moving togegher)로프로 연결된 두 클라이머가 동시에 등반하면서 확보하는 법.즉 동시
등반.
무브(Move)홀드에서 다음 홀드로 이동하는 동작.
미텔만(Mittlemann) : 자일파티에서 선두와 라스트 사이 중간에서 등반하는 자를 말한다.
반트(Wand) : 거대한 벽을 가르키는 독일어로 영어의 Wall에 해당한다.
바라클라바( Balaclavas) : 머리부터 목부분까지 감쌀수 있는 털모자로서 두 눈만 나오므로 보온에
매우 효과적이다.
백패킹(Back packing) : 산정이나 위험한 고도를 추구하는 등산과는 달리 자연과 인간과의 융화를 목
적으로 산야를 다니며 자연과 함께하는것을 말한다. 이러한 행위를 즐기는 자를 백패커라고
한다.
밸런스 클라이밍(Balance Climbing):체중의 대부분을 풋 홀드로 지탱하고 손은 그저 몸의 균형을 유지
한 데만 사용하는 등반 방법.
백 앤 풋(Back and foot):신체의 등과 발로 서로 반대 벽면을 밀면서 침니를 오르는 방법.
밴더리어(Bandoleer):장비를 걸기 위한 어깨걸이 슬링.
베이스캠프(Base camp) : 등산에 앞서 전진기지 또는 기점이 되는 곳의 캠프사이트를 말한다.
보울더링(bouldering) : 작은 암벽에서 로프나 장비 사용없이 맨몸으로 오르는 행위.
볼트(Bolt):바위에 구멍을 뚫고 그 구멍에 고정시키는 금속제 확보물, 카라비너를 거는 고리, 들어간
끝이 벌어지는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박(Bivouac) : 정상적인 캠프사이트를 준비한 것이아니라 불시 노영으로 노숙하는것을 비박이라고
한다.
빌레이(Belay):등반자나 후등자의 안전을 위해 확보하는것(확보에는 등반시 선등자 확보, 후등자 확보,
자기 확보등이 있다)
빌레이 브레이크(Belay brake):로프를 빌레이하는데 사용되는 마찰 장치.브레이크 대신 플레이트라고
도 한다.
사이트(Site) : 등산에서는 야영지를 뜻하며 요즘은 홈페이지를 사이트라고 칭한다.
세컨드(Secend) : 암벽등반에서 선등자를 지원하는 의미의 두번째 사람을 말하며 독일어서 미텔만
(Mittleman)에 해당 할 수도 있으나 미텔만은 세사람의 중간을 뜻하는경우가 많다.
스냅링크(Snaplink) : 카라비너의 다른 명칭
스탠다드(Standard) : 급,등반 난이도.
스미어링 (smearing) : 발을 문질러 디딤. 주로 슬랩 등반에서 많이 이용된다.
스텐스(stance) : 암벽등반에서 비교적 큰 홀드, 두 손을 놓고 설 수 있는 발 디딤 자리.
슬랩(Slab) : 표면에 요철이 없으며 약 70도 이하의 완만한 경사로 이뤄진 반반한 바위.
슬링(Sling) : 굵기 7~8mm 또는 넓이 1인치 정도의 나일론 테잎이나 로프를 말하며 용도는 아주 광범
위하고 다양하게 쓰인다.
아르바이트(Arbeit) : 아르바이트라고 함은 노동을 댓가로 임금을 받는것을 말하나 등산에서는 걷는
행위나 전진행위를 말한다.
아이스 피톤 (ice piton) : 빙벽등반 중에 얼음에 박아 확보물로 쓰이는 장비.
아이젠(Eisen) : 얼음이나 눈이 있는 지형에서 등산화 발아래 체우는 금속으로 만든 장비. 아이젠 이빨
의 수에 따라 4발 아이젠 6발 아이젠 12발 아이젠(전문가용) 등으로 불린다.
안부 : 산정상과 만나는 능선 또는 등산로를 따라 올라 정상 아래 능선과 만나는 곳
어프로치 (approach) : 교통 수단이 없어진 지점에서 등반지점까지의 거리.
에징(edging) : 바위면의 미세한 돌기(풋 홀드)를 암벽화 바닥의 가장자리로 디딤을 말한다. 주로 페이
스등반에서 이용된다.
연장등반 : 계속 등반을 하여 목표한 루트를 오르내리며 연속으로 등반하는 것.
오버행(overhang) : 암벽의 경사가 머리를 뒤덥을 정도로 튀어나와 90도(수직) 이상 되는 곳.
오포지션(opposition) : 손과 발을 밀고 당기는 자세를 취하여 지지력을 얻는 자세.
아레트(Arete):건물의 외각 모서리처럼 날카롭게 모가난 바위 형태.
아이스바일(ice Beil) : 빙벽등반시 얼음에 찍고 올라가는 손도구.
앵커(Anchor):로프를 임시로나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점을 나태내는 일반적인 용어. 자기 확보의
고정점을 말하기도 한다.
앵글 팩(Angle peg)넓은 크랙에 끼어 넣는 V자형의 피톤.앵글이라고 한다.
어센더(Ascender)고정 로프를 오르기 위한 기계 장치, 등강기라고도 한다.
에트리에(Etrier):줄사다리, 나이론 줄이나 테이프로 만든 짧은 사다리로 인공 등반 때 발을 거는 데
사용된다.
에징(Edging):작은 풋 홀드에 암벽화의 안쪽 모서리를 대어 마찰을 얻는 기술.
월(Wall):각도 약 70도 이상으로 가파른 암면.(반트)
웨지(Wedge):넓은 크랙에서 어깨와 다리를 재밍시켜 오르는 방법.또한 쐐기 모양의 너트를 말하기도
한다.
UIAA국제 산악 연맹 Union Internationale des Association d'Alpinisme 의 약어
장다름(Gendarme) : 주봉 가까이에 서있는 전위봉을 뜻하며 장다름이란 불어로 호위병 친위병을 뜻한
다. 백운대의 장다름은 인수봉이라고 할수있다.
잼밍(jamming) : 바위의 갈라진 틈(크랙)에서 신체부 즉, 손과 발, 팔 등을 끼워 넣어서 뒤틀거나 힘을
가해서 지지력을 얻는 행위.
쥬마(Jumar): 등강기의 상품명.
촉스톤(chockstone) : 바위의 갈라진 곳이나 바위와 바위의 사이에 끼어있는 돌. 가능한안 제거하지
않는것이 안전하다.
침니(chimney) : 바위의 갈라진 틈으로 몸의 일부나 전부가 들어갈 수 있는 수직의 바위틈.
초크(Chalk):부드러운 탄산마그네슘,송진가루로 가루 형태와 덩어리 형태가 있다. 이것을 손가락에 바
르면 땀을 제거해 줌으로 어려운 곳에서 손가락으로 잡는 능력을 향상시켜 준다. 조금씩
사용하지 않으면 바위에 흰자국이 남아보기 흉하게 된다)초크를 넣은 초크 주머니를 허
리에 찬다.
카라반(Caravan) : 대상들의 긴 여정을 말하듯 고산등산에서 본격적인 등산이 시작되는 베이스캠프까
지 이동하는것을 말한다.
카라비너((Karabiner):등반용 로프와 확보물을 연결시키는 금속제장치,O형,D형,삼각형 등의 형태와
개폐대를 잠글 수 있게 된 금속고리.(비너라고 줄여서 말하면 틀린방법이다)
컴파스(Compass) : 방위를 표시해주는 나침판.
케른(Cairn):이정표 역할을 하는 작은 돌무더기.
코스(course) : 루트, 길
크럭스(crux) : 루트등반 중에 가장 힘들고 어려운 지점.
클라이머(climber) : 등반자.
클라이밍(climbing) : 등산행위,암벽빙벽등반.
크랙(Crack):바위가가 갈라진 틈, 너비가 1mm미만에서부터 수십cm에 이르는 것이있다.
크럭스(Crux):어떤 등반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고비.
타프(Tarp) : 비나 햇볕을 막기위한 가장 간단한 텐트로서 네모난 형태의 방수천을 말한다.
테라스(terace) : 등반중에 비교적 자유로이 바르게 설 수 있는 넓은 곳.
테이핑(Taping) : 등반에 앞서 신체의 일부를 외적이나 내적으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테이프를 감아
주는 것을 말한다.
테크니컬 클라이밍(Technical climbing):한 루트 중 여러 어려운 동작을 필요로 하는부분.
텐션(Tension) : 암벽등반중 자일에 몸을 맡기고 지점에 하중을 거는것을 말한다. 현수하강도 일종의
텐션이 걸리므로 자일 확보물의 안전성과 하중의 방향, 하중의 분산등에 주의를 기우려야
한다.
토포(Topo):루트의 선을 그린 도면.
톱 로프(Top rope):등반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루트 정상에 올라가 로프 끝을 아래로 내려보내 학보하
는 것을 톱 로핑이라고 하여 그렇게 내려 보낸 로프를 톱 로프라고 한다.
트래버스(Traverse):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옆으로 이동하는것.
트레드(Thread):자연적인 바위 구멍이나 촉 스톤에 슬링을 걸어서 만든 확보물.
트레킹(Trekking): 본뜻은 소달구지로 먼 여행을 떠나는것을 의미했으나 지금은 험난한 길을 따라 산록
을 여행하는것을 말한다.
티롤리안 트래버스(Tyrolean traverse):협곡 양쪽에서 확보하는 로프를 타고 협곡을 건너는 방법으로
멋져 보이나 보통 불필요하다.티올리안 브릿지라고도 한다.
펌핑 아웃 (pumping out) : 등반시 힘을 모두 사용해서 더 이상 힘을 쓸 수없는 상태.
페이스(face) : 80~90도 정도 되는 급경사의 바위. 또는 그 바위 면
프렌드(friends) : 암벽등반시 바위의 갈라진 틈에 끼워 넣어서 지지력을 얻는 암벽 장비. 크랙의 면이
돌기가 없고 매끄러워도 지지력을 얻는다.
프론트 포인팅 (front pointing) : 빙벽등반시 아이젠의 앞 포인트를 이용해서 얼음벽에 발로 차서 박히
게 하여 올라가는 등반 자세.
프리 클라이밍 (free climbing) : "자유 등반". 등반시 장비와 확보물에 의지하지 않고 오르는 행위.
프릭션 (friction) : 암벽등반시 바위와 암벽화 사이에 일어나는 마찰력을 말한다.
피치 (pitch) : 전문 등반에서 피치는 한마디, 마디라고 생각하면 된다. 암벽등반에서는 50내지 60미터의
로프를, 빙벽등반에서는 60-100미터의 로프를 사용하므로 로프의 길이에 준해서 사용되
고 있다.
피켈(pickel) : 빙벽등반시 찍고 올라가는 손도구. 워킹시에는 지팡이로 그밖에 여러가지로 많이사용됨
프루지킹(Prusiking):프루직 매듭으로 건 고리를 사용하여 고정 로프를 오르는 방법.
피나클(Pinnacle):암릉이나 암벽 위에 있는 작은 바위탑. 소첨탑이라고도 부른다.
피톤(Piton) : 크랙에 박는 금속제 확보물로 머리 쪽에 카라비너를 거는 구멍이 있다.
하네스(harness) : 안전 벨트
하드프리 (hard free) : 자유 등반에서 난이도가 높은 것을 말함. 등반자 각 개인의 최고의 난이도를 자
유등반하는 것.
하이포써미아(Hypothermia): 춥고 습하고 바람이 부는 곳에서 등산자가 보온, 방풍,방수에 대비하지 않
아 신체내부의 열손실을 막지못해 저체온증에 걸리는 것을 말한다. 체온이 저하하게되면
마침내는 목숨을 잃는 수가 있다. 증상으로는 오한이 나며 체력이 떨어지고 졸음이 오며
동공이 풀리고 판단력을 상실하게된다)
하이킹(Hiking) : 산이나 들판을 가벼운 복장으로 다니며 자연을 즐기는것.
해먹(Hammock) : 나이론으로 만든 그물형태의 간이침대로 나무와 나무 사이에 걸쳐서 사용한다.
헤드램프(Head Lamp) : 머리나 헬멧에 착용 할 수 있게 밴드가 달린 조명구로서 손의 활동이 자유롭다.
홀드(Hold):몸의 균형이나 지탱을 위해 손으로 잡거나 발로 디딜수 있는 바위나 약간 나온 부분.
후킹(hooking) : 등반 중 자기 어깨 높이 이상의 홀드를 발뒷굽치를 걸어서 사용하는 방법. 자유등반에
서 페이스나 오버행 등반시 많이 이용됨.
햄머(hammer):피톤을 크랙에 박기 위해 때리는 망치.
헬멧(Helmet):가벼운 무게의 등산용 헬멧. 낙석이나 추락시 머리를 가능한 한 보호하기 위한 것
'등산정보·산행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 가을철 국립공원 탐방로 출입통제 공고(국립공원관리공단) (0) | 2018.11.12 |
---|---|
산행용어/등반용어 (0) | 2018.06.29 |
지리산 칠선계곡 임시개방(2018.05.01~06.30)까지 (0) | 2018.04.13 |
지리산 칠선계곡 봄가을에 제한적 개방 (0) | 2018.04.13 |
원주 소금산 출렁다리 (0) | 2018.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