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생활정보

봄나물의종류

깜상. 2014. 3. 30. 11:43
반응형

 

산나물은 자연 그대로의 오염되지 아니한 먹거리를 찾는 시대에 더없이 좋은 먹거리이다.

오염된 토양, 수질, 공기로부터 해방되고 농약이나 인공의 비료를 사용하지 아니한 나물이다.

 

산나물은 영양면에서 좋다.

산나물을 먹으면 건강을 지키는 것은 물론 음식을 잘못 억어 생긴 온갖 성인병 예방과

치료까지 가능하다고 한다. 산나물은 산이 높고 수려하며,

비옥한 토양에서 자란 산나물이어야 향과 맛은 물론 氣가 많이 담겨져 있으며,

산나물에는 영양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건강식품으로 으뜸이라고 한다.

산나물의 성분은 미네랄.칼륨.칼슘.인.철이 골고루 들어 있으며, 섬유질이 많고,

사포닌 또한 우리 몸의 저항력을 길러 줌으로써 성인병 예방은 물론 치료까지 가능하며,

산성화되어가는 인체를 알카리성으로 바꾸어 주는 기능을 한다.

 

산나물에는 참취, 곰취, 참나물, 미역취, 엄나무순처럼 잎이나 순을 먹는 것과, 도라지, 더덕,

잔대처럼 뿌리를 먹는 것과 달래, 고들빼기, 냉이처럼 잎과 뿌리를 동시에 먹는 것과 당귀,

머루, 다래처럼 열매를 먹는 것이 있다.

 

초봄에 나는 어린 풀은 어느 것이나 뜯어 먹어도 약이 된다고 하여 백초차(百草茶)라 이른다.

햇볕이 강해져서 독이 오르고 다소 빳빳해진 풀을 빼놓고 나머지는 다 먹을 수가 있다.

이때 양념을 적게 써서 나물맛을 잘 간직하도록 하고 특히 참기름을 적게 써야 한다.

어느 절에는 참기름 대신 들기름을 쓰는 경우도 많다.

나물은 우선 신선해야 하기 때문에 너무 많이 무쳐서 냉장고 안에 잔뜩 쌓아 두어서는 안된다.

 

 

식용가능한 나물과 사진을 여기 저기에서 자료를 모아서 올려봅니다.

 

가시오가피

 

고비

 

고사리

 

곰취

 

다래순

 

글레

 

단풍취

 

더덕순

 

 

역취

 

비비추

 

 

부지깽이나물

 

엄나무 순

 

산나물

 

참나물

 

 

잔대순

 

참취

 

 

더덕

 

잔대

 

조휴(삿갓나물)

변종 삿갓나물

얼레지 나물

 

바위취나물

 

물레나물

 

며늘취(금낭화)

 

피나물

붉나무순

 

숨위나물(냉초)

 

 

참나물

 

곰취

 

누룩취(누리대)

 

민들레

 

바디나물(파드득나물,밤나물,반디나물)

뿌리는 독성이있어 법제를 해야 된다

 

달래

 

냉이

 

씀바귀(고들배기)

 

 

돌나물

 

머위

 

명아주

 

찔레순

 

왕고들배기

 

곤드레나물(고려엉겅퀴)

 

박쥐나물

 

피나물

 

갈퀴나물

 

취나물

 

엉겅퀴

 

소루쟁이

된장국 끓이면 시금치 국 같이 맛있습니다 .

질경이

 

상추

ji3535

 

 

누리대 -특유의 누린내가 나서 쉽게 범접하기 어려운 나물이지만 한번 맛들이면 중독성에 가깝다..

소화촉진, 내장의 기운을 편하게하고 위장의 식체를 해소하며, 장아찌로도 담가먹는다.

산나물의 종류와 사진

 

동이나물-곰취와 비슷하여 간혹 초보자가 곰취로 먹고 식중독 사고를 일으키는 독초.

사실 이름만 나물임.

산나물의 종류와 사진

 

밥취(곰취)...이 나물로 장아치 담가먹으면 정말 맛있는데.

나물로 먹으며ㅡ 백일해, 천식, 관절통 등에 효능.

산나물의 종류와 사진

삼지구엽초....널리 알려져 있다시피 자양강장제.

산나물의 종류와 사진

 

우산나물...모양이 우산같다고 해서 붙여지 이름인데..

어린순을 무쳐서 먹음.

산나물의 종류와 사진

인동덩굴의 꽃, 인동덩굴은 여러번 본적이 있는데 꽃은 처음.

한방의 항생제라불림.

산나물의 종류와 사진

작은 떡취..취나물도 종류가 많던데. 쌀가루에 버무려 무쳐먹음. 향이 참좋던데...

어린시절 어머니와 함께 청계산에서 캐어 떡을 해먹었는데.....

산나물의 종류와 사진

 

좀단풍취-어린잎을 데쳐먹거나 묵나물로 사용

산나물의 종류와 사진

 

쪽도리-진통효과가 있어 과용하면 안됨. 말린것을 차로 이용하면 감기예방약. 과용금지

 

참당귀. 참당귀와 비슷한 개당귀가 있는데 이건 잘못 먹으면 심각한 고통을 당합니다.

 

참도솔취 취나물의 일종으로 식용 가능.

 

 

우산나물

 

 

 

 

 

 

갈퀴나물
(콩과)

  • 속명 : 산완두. 야두각. 말굴레. 칼키나물. 녹두두미
  • 분포지 : 전국의 산과들. 주로 낮은 산 길가 초원
  • 개화기 : 6 - 9 월
  • 꽃색 : 홍자색
  • 결실기 : 9 - 10 월
  • 높이 : 80 - 180 cm
  • 특징 :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를 감고 올라가는 덩굴식물
  • 용도 : 식용. 밀원용
  • 생육상 : 여러해살이 풀
  • 먹는방법 : 봄. 여름에 연한 잎과 줄기를 삶아 나물로 먹으며 말려 두고 먹는다.

 

붉고 둥근 풀잎들 사이에서 희고 작은 꽃들이 피어나는 모습이 마치 봄을 재촉하기
라도 하는 듯이 보여서인지, 이름도 봄맞이다. 둥근 풀잎 때문에 동전초라고도 하고,
흰색의 작은 꽃잎이 마치 땅에 점점이 뿌려져 있는 듯하여 점지매라고도 하며,
이른 봄에 꽃이 핀다고 보춘화라고도 한다.

한 해 또는 두 해에 걸쳐 자라며 뿌리에서 나온 잎이 땅에서 사방으로 퍼진다.
변형된 잎인 포(苞)가 꽃을 보호하는데, 포의 길이는 0.4∼0.7cm로서 달걀 모양이다.
꽃받침의 조각 역시 달걀 모양인데 끝이 날카로우며 꽃이 진 뒤에 커진다.

전국에서 볼 수 있으며 들판이나 논둑, 밭둑, 언덕 등 햇빛이 잘 드는 곳을
좋아한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봄맞이속의 식물에는 별봄맞이,
금강봄맞이, 애기봄맞이, 백두산봄맞이, 명천봄맞이 등이 있다.
이 중 별봄맞이는 외래종으로 제주도 들판에서 자란다. 금강산에서
처음 발견된 금강봄맞이는 금강산과 설악산 등 높은 산지의 바위 틈에서
자란다. 5∼6월에 하얀 꽃이 피는데 봄맞이 중에서도 가장 크고 예쁘다.

화단에 관상용으로 심으며, 어린순과 잎은 봄나물로 식용한다. 4월에
풀 전체와 열매를 따서 그늘에서 말린 뒤 약재로 이용한다.

반응형

'건강정보·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나물의 종류와 효능   (0) 2014.03.30
봄나물 요리  (0) 2014.03.30
봄나물의 모든 것  (0) 2014.03.30
헬스운동법/헬스사진(모셔온글)  (0) 2014.03.19
대상포진의 증상과 치료방법  (0) 2014.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