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복 세탁방법(펌)
스키복과 보드복은 중성세제를 사용해서 세탁을 합니다.
중성세제는 말 그대로 중성이기때문에
자극이 가장 덜 합니다.
따뜻한 물에 중성세제를 적당량 풀어서
세제가 잘 녹도록 저어준 후에
이 물에 스키복을 담궈서 전처리를 합니다.
전처리를 하는것은 애벌빨래 하는 것인데요
얼룩이 심하거나 더러운게 많이 묻었다면
그 부분에 먼저 세제 원액을 발라두고
시간을 좀 둡니다.
이렇게 하면 세제 원액이 오염부분에 침투해서
얼룩제거가 더 잘 되도록 하거든요.
오염부분 전처리 작업이 어느정도 되었다 싶으면
따뜻한 물에 세제를 풀어 놓았던 것을
거품이 잘 나도록 솔에 묻혀서
구석구석 깨끗하게 얼룩 부분을 문질러줍니다.
이때 못쓰는 칫솔이나 수세미등으로
부드럽게 잘 문질러주세요.
오염부분에 미리 전처리작업을 해두었기때문에
솔로 문질러주면 얼룩이 잘 제거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답니다.
위 사진에 보시는 것 처럼
소매와 주머니, 박음질 부분 등등
구석구석 까만 얼룩들이 많이 생겨있을텐데
세제 원액을 미리 발라두었다가
세제물을 묻혀 문질러주면
다른 세제 사용 없이도 어느정도 제거가 됩니다.
스키복, 보드복 같은 시즌의류는
의류의 특성상 겨울에 입고 봄여름가을동안
보관해두는 편인데요,
만약 겨울에 입고나서 얼룩제거, 오염제거를 안하고
그대로 옷장속에 넣어 보관한다면
습기와 각종 물질에 노출되어
곰팡이가 생기기 쉽습니다.
그렇기때문에 반드시
세탁해서 옷장속에 넣어 보관하셔야 한답니다.
세탁소 아줌마가 알려드리는 방법은
주로 중성세제로 세탁하는 방법인데요,
이 방법은 제가 세탁소에서도 동일하게 사용합니다.
다른 세제들 많이 사용하지 않고
거의 중성세제만으로 작업 하고 있는데요
아무래도 건강, 피부와 직결되는 의류인 만큼
최대한 자극 없게
의류 손상없이 입을 수 있도록 하다보니
중성세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가장 좋더라고요.

소매부분이 특히 더러웠던
위의 스카이블루 색상 보드복 사진을
조금 설명 드릴게요.
이렇게 얼룩이 심한 의류들도
처음에 세제 원액을 발라 전처리 하고
시간을 조금 두어 세제가 잘 침투하도록 하면
나중에 솔로 문지르고 나서
세탁기에 본세탁 돌려주는 것만으로도
얼룩제거가 잘 됩니다.
다만 주의하실 점은
보드복, 스키복 세탁할 때
이 옷들의 수명을 감안해서
세탁시간을 짧고 길게 가감해주셔야 한다는 것입니다.
전처리작업을 충분히 진행해서
세탁기에서 본세탁 하는 시간을 줄이고
헹굼, 탈수 후 건조하게 되면
옷에 손상을 많이 줄일 수 있답니다.
전처리 후 본세탁 해주었더니
위 사진처럼 말끔하게 잘 제거 되었어요.
손으로 처음부터 마구마구 문지르지 말고,
세제 원액 발라서 조금 불린후에
솔로 그 부분 문질러주는 전처리 작업을
꼼꼼하게 해주신다면
왠만한 얼룩제거는 오케이 됩니다:)
처음 100% 상태는 아니지만
이전에 비하면 80% 이상 복원되었어요.
얼룩이 깨끗하게 제거되었으니
색감도 잘 나오죠^^
특히나 스키복, 보드복의 경우
발수가공을 중요하게 생각하시는데요,
집에서 손세탁 할 경우
발수가공을 하실때는
발수액에 옷을 담구는 것을 추천합니다.
발수 스프레이를 분사하게 되면
옷에 얼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에요.
목부분 까만 얼룩은
어떤 옷을 입든지간에 꼭 생기죠..
이 부분 또한 전처리작업할때
세제 원액을 꼼꼼하게 발라놓은 후
솔로 문질러주면
거의 다 깨끗하게 제거 됩니다.
얼룩은 생기자 마자 지우는게 가장 효과가 좋은데
그러다보니 스키복같은 시즌 의류도
입고나서 바로 세탁 해준다면
얼룩이 고착 되지않고
바로 제거가 잘 되겠죠.
스키복의 수명을 3-4년 정도로 생각하시고
구입년도와 생산년도를 확인하신 후에
본세탁 하실때 감안해서 시간을 조정해주세요.
만약 옷이 만들어진지 오래되었다면
전처리 후 세탁기 본세탁은 최대한 짧게,
그리고 헹굼 탈수 하시고 바로 건조하시면 됩니다.
중성세제로 세탁했기때문에
유연제는 사용 안하셔도 되고요
발수가공 하시려면
마지막 헹굼단계에서 발수제 넣고 돌려주시면 되고
이럴경우
건조기에서 5-10분 정도 5-60도 온도로 건조하면
발수제 효과가 커지니 참고해주세요.